A형간염, B형간염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 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예방접종은 몇번을 맞아야 하는지 가격은 또 어떻게 되는지 많이들 헷갈리실 거에요~
제때 접종을 맞지 않으면 이후 크게 후회하실 수도 있는데요. 특히 병원, 단체시설에서 근무를 하시는 분들은 접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간염 바이러스 중 가장 흔한 A형간염과 B형간염의 접종방법, 가격, 특징 등에 대해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1. A형간염
1) 접종 방법
먼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www.hira.or.kr
HIRA
www.hira.or.kr
➡️ 우측 상단의 전체메뉴 버튼을 클릭하고
➡️ 조회,신청을 눌러주시고
➡️ 비급여진료비정보 클릭
➡️ 비급여 진료비용 정보 들어가기
이제 여기서 지역을 선택하셔서 아래 비급여 진료비 항목에 ‘A형간염’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가격을 확인하셨다면 내가 접종하기로 결정한 병원에 전화로 예약을 하시거나 예약이 필요없다면 백신 바로 맞을 수 있는지 전화로 확인 후 방문해주시면 됩니다~ 막상 갔는데 백신 재고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꼭 미리 확인해보시고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접종 비용
2024.6 기준으로 대부분의 병원에서의 A형간염 접종 비용은 성인용 기준 ‘7만원’정도로 형성돼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그래도 몇군데 비교해보며 조금이라도 저렴한 곳을 찾아가시면 좋을 듯 합니다~!)
[주의사항]
* 접종은 6개월 뒤 한 번 더 맞아야 해서 총 2번 맞아야 합니다!
* 접종 시 신분증 꼭 들고 가세요!
3) A형간염 바이러스 특징
- 만성화는 되지 않음, 백신 있음
- RNA 바이러스, 분변에서 구강으로 가는 경로로 감염될 수 있음
- 한 번 생긴 항체는 평생 중화항체로서 평생 면역이 가능하다
- 감염 중인 짧은 기간에 바이러스가 혈액에 돌고 있음 → 채혈하다가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될 수 있음(의료계 종사자의 주의 필요)
- 잠복기 후기와 급성 발작전기에는 간, 담즙, 대변 및 혈액에서 바이러스가 관찰됨
- 소아에게는 위험하지 않지만, 어른에게 위험할 수 있음
- 황달이 생긴 후에는 혈중 바이러스 농도와 감염력이 급격하게 감소함
-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시 면역글로불린 0.02 mL/kg 주사가 추천됨
: 노출되고 가능한 한 일찍 주사
: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2주 내에만 주사해도 효과 있음
2. B형간염
1) 접종방법
가격 비교 방법은 A형 간염과 동일합니다~ 윗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고요
2) 접종 비용
2024. 6월 기준 B형간염 접종 비용은 ‘15000원~30000원’ 까지 다양하게 형성돼있었습니다. A형 간염보다 병원별 접종 비용 차이가 조금 있는 편이었습니다! 근처 병원 여러 곳을 비교해보고 조금 더 저렴한 곳에서 접종바든ㄴ 것이 좋겠죠?
B형 간염은 첫 접종일 기준 한달 후 2차, 6개월 후 3차 이렇게 총 3번을 맞아야 합니다!
의사선생님의 말로는 사람에 따라 1,2차에서 항체가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3번까지 맞아야 완전히 면역이 형성된다고 하네요~ 하지만 그렇다고 몇몇 사례를 보면 절대 B형간염에 걸리지 않는 것은 또 아닌 듯하네요..(물론 적은 확률이지만)
3) B형간염 바이러스 특징
- 만성 진행 : 1~10%
- 예방접종 가능(완전히 예방되지 않음)
- 초기의 경우 치료 잘하면 간 섬유화 되돌릴 수 있고 만성화되는 것 막음
- 간경변, 간암으로 발전될 가능성 있음
- enveloped, partial double stranded DNA virus
- 수직 감염
- ORF : 어디서부터 tranlation 되느냐에 따라 HBeAg, HBcAg 등 합성
- 핵산이 핵 속에 들어가 cccDNA 형태 유전자가 번역되어 각종 단백질 합성
: nucleotide analogs를 넣어 reverse transcription 막아서 증식 억제 해도 HCC 발생을 0으로 만들지 못함(cccDNA 남아 있으므로)
→ 평생 약을 먹어야 함
- 24~28주에 HBsAg 사라지며 Anti-HBs Ag 생기기 시작하는 시기 : window period
- 백신 접종자는 Anti-HBc, Anti-HBe 항체 없음
▶ 급성 감염 이후 만성 진행
- HBsAg : 6개월 이상 지속 양성 : 급성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만성으로 진행한 것
- DNA 검출 안 되고 항원만 양성인 경우 있음
▶ 바이러스에 노출 된 후 예방
- 면역글로불린(HBIG) + B형간염 백신(HBV vaccine)
: 출생 즉시 허벅지에 근육 주사(엉덩이 X)
- HBsAg 양성 혈액 또는 체액에 직접 경피적 접종 또는 경점막 접종
: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HBIG, 0.06 mL/kg를 근육주사, 1주 내로 능동 면역을 실시
- 동시에 HBIG와 vaccination을 실시할 경우는 same time에 실시해도 되지만 주사부위는 서로 다른 자리에 해야 함
(+) 추가 정보
* C형간염
- 증상없이진행
- 간경변, 간암으로 와서 진단받는 경우 많음
- 백신 없지만, 완치약이 있음
- RNA 중합효소 교정 능력 없음
- 항체가 있어도 면역 효과 X(들어왔던 것에 대한 흔적만 indication할 뿐)
: 재감염 가능
- 유전형 6형 있음(우리나라 1b, 2 유형이 각각 절반 비율로 존재)
- 혈행 전파(주사 약물사용, 바늘 상해, 수혈, 타투, 성접촉)
* D형 간염
- 반드시 HBV와 동시감염, B형 간염 만성 환자에서 감염
- HDV를 주사기로 주입해도 HBV 없으면 감염 못 일으킴
* E형 간염
- 우리나라 거의 X
- 대변에서 구강으로의 (대인 감염 드묾)
- 급성에서 회복(만성 잘 X)
오늘은 A형간염, B형간염의 접종 방법, 비용, 그리고 바이러스의 특징까지 살펴봤습니다. 이에 더불어 C형, D형, E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간단히 알아보며 간염 바이러스들에 대해 모두 살펴봤는데요. 필요한 정보를 얻으셨길 바랍니다~
'건강 및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형간염 증상 치료 치료제 소포스부비르 (0) | 2024.06.14 |
---|---|
만성 B형간염 치료제 엔테카비르 테노포비르 베시포비어 (0) | 2024.06.13 |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 치료 약 (0) | 2024.06.10 |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증상, 치료, 비교 (0) | 2024.06.07 |
설사 유형별 원인, 치료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