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질병 정보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증상, 치료, 비교

반응형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은 증상이 유사한 점이 많아 혼동되는 질병입니다.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치료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필요하신 질병 내용으로 내려가서 보시길 바랍니다!

대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염증성 장질환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1. 궤양성대장염 (UC)

1) 증상 및 특징

▶ 장염(직장염)

- 신선한 점액 또는 혈액 stained 점액, 대변과 섞이거나 정상적이거나 딱딱한 대변의 표면에 줄무늬가 있는 테네스무스, 즉 긴급한 배변
- 혈변 설사
- 복통은 CD만큼 심하지 않음

▶ 신체소견

i) 직장염 : 연하부 항문관, 직장검사상 혈액
ii) 대장 바로 위 촉진 시 압통
iii) 독성 거대결장 : hepatic tympany
iv) 천공에 대한 복막염 징후

▶ 검사 수치

- CRP
: 항문 자체에 국한됐을 때 CRP와 일치 X
- 혈소판 상승
- Fecal calprotectin : 가장 일치율 높음 but 검사 과정 번거로움
- 혈청 알부민 : 광범위한 한 경우
- 좌측 이동을 동반한 백혈구 증가증
: 특이적이지 않음
- 구불결장경 : 중증도 보려고 할 때(안정적인 환자라면 어느정도까지 퍼져있는지 보려면 결장경 검사)
- 단추 모양 궤양(바륨 관장), 리드 파이프 모양
- 순한 점막 비후(< 1.5cm)

2) 합병증

- 대량 출혈 : 대장 절제술
- 독성 거대결장 및 장천공 ➡️ 의료 응급상황
: 가로결장 또는 오른쪽결장 > 6cm
: 전해질 비정상, 마약
: 절반 정도는 수술 없이 치료됨
: 천공 생기면 치명률 높아짐(예방적 수술하기도 함)
- 협착
: 협착 부위 에서 암 위험 높음
: 염증, 섬유화로 오기도 함
: 대장염과 항문주위질환

2. 크론병

- 연령별로 나눔(16 세 이하, 17~40 세, 40 세 이상) 위치(회장, 대장, 장결장(가장 많음))

1) 증상

▶ 회결장염

- 맹장염과 유사(열, 백혈구)
- 발열(저등급), 고등급일 때는 이미 복강내 농양 형성을 시사
- 체중 감소
- 염증성 mass
: 배뇨장애(방광으로 누공), string sign(장벽의 부종)
- 장폐색 : 경련
- 누공형성 : 미세천공

▶ 공회장염

- 저알부민혈증, Vit D 결핍, 펠라그라, 거대아세포성 빈혈, 설사
- 항문주위 침범(1/3)는 크론병에서 더 많음
- 대량 출혈은 덜 흔함
- 통증은 더 심함(좁아진 염증 부분) : 배변 직전의 통증
- 독성 메가콜론(궤양성 대장염에서 더 흔함)
- 위 또는 십이지장으로 누공화 : 토에 변이 나옴

▶ 위 십이지장 질환

- 상복부 통증, H.pylori 음성
- 출구 막힘

2) 검사 수치

- ESR, CRP 상승
- 저알부민혈증, 빈혈, 백혈구 증가증
- 아프타성 구내염
- 풍선 확장, 캡슐 고정(캡슐 내시경)
- 방사선 검사에서 자갈돌 모양
- CT, MRI 로 확인 : 점막 두께 2cm 이상
- CT 소장조영술 : 1차 검사
- 점막하 부종

3. 치료

1) 5-ASA

- 경증에서 중등도의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치료의 주축
- 두 질병 모두에서 관해(안 좋은 상태를 제거)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
- UC 상태 유지(remission)에 있어서(CD-불투명)
- 순한 약임
-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 부작용 많음
- 어떻게 만들었는지에 따라 어디서 작용하는지 다름
- 메살라민 : 위에서도 작용

2)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궤양성대장염이 active한데, ASA가 효과 없을 때
- 경구 투여에서 정맥 투여로 변화
- 부데소나이드 : 전신적 증상 없는 좋은 약
- 국소 적용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직장에만 문제 있을 때
- 완화 빨리 잡을 수 있지만 유지 보수 가 잘 안 됨
- 크론병에서 중요(주 치료제)
- 부작용 : 체액 저류, 복부 박리, 지방재분배, 고혈당 등
: 빨리 쓰고 빨리 끊기

3) 항생제

- 크론병에서 사용(특히 누공)
- 시프로플록사신 또는 메트로니다졸

4) 아자티오프린 및 6-메르캅토퓨린(면역조절제)

- 초기 치료, 유지 치료 모두 됨
- 하지만 효과가 늦게 나타남(일반적으로 glucocorticoid 먼저 쓰고 이후 갈아탐)
- 주로 유지요법에 사용
- 부작용 : 췌장염(완전히 reversible), hepatitis(약 끊고 다시 사용 X), leukopenia(골수 억제), lymphoma(가장 큰 문제, 젊은 남자)

5) 생물학적 치료법

- 가장 윗 단계 약
▶ 항TNF 요법
- 인플릭시맙 : TNF-알파 에 대한 항체 (그런데 이 약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기도 하는 부작용)
- adalimumab(인간 ab) : 항약물 생성 확률 낮음(쟤와 달리)
▶ 항인테그린
- 혈관에서 나오는 것을 막아줌
- 나탈리주맙, 베돌리주맙 → 피부테스트가 필수 아님
- 유스테키누맙 : IL12, IL23 에 대한 항체
▶ 소분자
- JAK 억제제
- Tofacitinib : 중증 궤양성대장염에 사용, 심장마비 부작용

6) 수술요법

- 궤양성대장염에서 최종 요법 : 전체 대장 절제술(직장 에만 문제 있다고 해서 직장만 제거하는 것 아님)
- 크론병은 수술한다고 해결되지 않음 : 최소한의 수술

오늘은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