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질병 정보

골다공증의 원인, 검사 그리고 치료제(데노소주맙, 로모소주맙 내용 포함)

반응형

골다공증. 이름 그대로 뼈에 구멍이 송송 뚫리는 질병입니다. 어르신분들께서는 누구나 골다공증을 걱정하시거나 심지어 진단 받으신 모습을 많이 보셨을텐데요.
특히나 폐경 이후의 여성에서 골다공증으로 심각한 경우에는 골절이 생겨 큰 부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다공증을 진단 받는다면 약을 처방받게 되는데 약 종류가 많다보니 내가, 혹은 우리 부모님께서 드시는 이 약이 어떤 약인지 궁금하실텐데요.
오늘은 골다공증의 원인과 검사에 대해 알아보고 그 치료제를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신체의 골격을 나타낸 일러스트
우리의 몸을 구성하는 뼈

1. 골다공증의 원인 (기전)

우리의 뼈는 조골세포(뼈를 만드는 세포)와 파골세포(뼈를 파괴하는 세포)가 짝지어 작용하며 평형을 이룹니다. 조골세포가 뼈를 생성하는 과정은 3달정도 걸리지만,
파골세포의 파골 과정은 약 3주만이 소요됩니다. 그런데 폐경이 온 여성의 경우에는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며 칼슘 흡수가 감소하고 골량이 감소되며 이 파골 과정만 활발히 일어나게 되는데요.
이로 인해 특히 폐경 이후의 여성에서 골다공증이 잘 발생하게 됩니다.

2. 골다공증 검사와 진단

1) BMD-DXA (표준검사)

검사에서 쬐는 광선의 높은 에너지는 뼈와 연부조직에 흡수되고, 낮은 에너지는 연부조에만 흡수되는 원리를 이용해 그 차이로 골밀도를 구하는 검사입니다.

2) T-score

골다공증 검사를 해보신 분이라면 이 T-score 에 대해 한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T score가 -1.0 ~ -2.5이면 골감소증, -2.5 이하면 골다공증으로 봅니다.
이 T score가 환자의 (측정값-젊은 집단 평균) / 표준편차라면,
폐경 전(50세 미만) 환자는 Z-score 로 판단하는데 Z score는 (환자의 측정값-동일 연령집단 평균)/표준편차 의 값입니다.
Z score 가 -2.0보다 크면 기대 골연령 이내로 보고, -2.0 이하면 기대 골연령 이하로 봅니다.

3. 골다공증 위험 요인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을 높이는 요소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본인이 몇 가지나 해당하는지 체크해보세요.
- 병력, 가족력, 여성, 고령, 백인, 치매, 흡연, 에스트로겐 결핍, 영양 부족, 알코올 중독, 교정되지 않는 시력 저하, 낙상
- 쿠싱증후군, 갑상선 중독증, 당뇨, 말단비대증 등의 내분비 장애
- 류마티스 질환
- 당질코르티코이드, 항경련제, aromatase inhibitors, 제산제, 티록신 등의 약제 복용

4. 골다공증의 치료

1) 일반적 치료

- 칼슘은 일일 800~1000mg 섭취 권장(음식으로 부족하면 보충제 사용)
- 비타민 D 일일 800 IU 섭취

수많은 종류의 약이 있음을 나타낸 일러스트
다양한 골다공증 치료제

2) 약물 치료

⭐️ 에스트로겐

- 적응증
: 60세 이전 또는 폐경 된지 10년 이내 여성(경한 경우)
: 골절 위험이 높은 폐경 여성은 여성호르몬 이외 치료 권고
: 프로게스틴과 함께 사용해 자궁내막증식증 막음, 정맥혈전증에서 금기
️️

⭐️ SERM(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인데 선택적으로 뼈에만 (+) 작용한다. (유방, 자궁에는 길항 작용)
- 금기증 : 정맥혈전증(심부정맥혈전증 병력 확인 필요)

⭐️ 비스포스포네이트

-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 골다공증 치료로 가장 많이 처방됨
- 신기능 저하자는 사용 X (eGFR < 30~35ml/min)
- 턱뼈(악골)의 괴사 위험
: 악골 부위 뼈 노출 + 적절한 치료에도 치유되지 않고 8주 이상 지속
: 4년 이상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했거나, 4년 미만 사용했지만 고위험군(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 혈관신생억제제 투여, 당뇨병)인 환자는 2개월 휴약해야 함

⭐️ 데노소주맙 (주사제)

- 6개월 간격 피하주사
- 여성, 남성, glucocorticoid 유발 골다공증에 사용 가능
-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사용 가능
- 주의 : 악골 괴사, 비전형대퇴골골절, 저칼슘혈증
- 주사 중단 시 갑자기 골밀도 급격한 감소생기는 문제점

⭐️ 로모소주맙

- 월 1회 / 1년 이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있었던 환자는 주의
- 위에 소개된 약들은 뼈 흡수(파괴)를 억제하는 것과 달리 로모소주맙은 이와 함께 뼈를 형성하는 것을 촉진해 줌

오늘은 골다공증의 원인, 검사, 그리고 다양한 치료제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골다공증에 걸렸다 하더라도 적절한 치료를 받으며 관리를 열심히 한다면
부상입지 않고 건강한 삶을 즐기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