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신장(콩팥)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없어졌을 때 그 기능을 대신해 줄 의료 행위를 받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투석’입니다. 그런데 이 인공투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다보면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실 겁니다. 각각이 어떤 특징이 있고 장단점이 있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오늘 글에서는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1. 투석이란?
투석은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법입니다. 신장 기능이 떨어질 때, 여러분의 신장은 혈액을 여과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노폐물과 독소는 여러분의 혈류에 축적됩니다. 투석은 혈액에서 노폐물과 과도한 액체를 제거하면서 여러분의 신장의 일을 합니다.
*신장은 우리 몸에서 무슨 역할을 할까?
신장은 비뇨기 계통의 일부입니다. 이 두 개의 콩 모양 기관은 척추 양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합니다. 그것들은 혈액의 독소를 씻어내고, 여과되고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을 혈류로 되돌려줍니다. 그 노폐물과 여분의 물은 신장에서 방광으로 이동하는 소변을 만듭니다. 신장은 또한 여러분의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돕습니다
2. 인공투석(신대치요법)의 적응증
- 중증의 요독성 뇌병증 혹은 말초신경병증
- 심낭염 혹은 늑막염
- 요독으로 인한 출혈
- 조절이 되지 않는 폐부종과 채액 과다, 고혈압,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 칼슘 및 인 대사 장애
- 영양 결핍
- 지속적 식욕 감퇴, 구역 및 구토
3. 혈액투석 vs 복막투석 선호
1) 혈액투석 선호
- 근육질 성인
- 비만 환자
- 탈장 환자
- 요통 환자
- 저알부민혈증 환자
- 복강 내 유착이 있는 환자
- 다낭종신질환 환자
- 최근 복부 수술 병력
- 심한 폐질환(COPD) 환자
2) 복막투석 선호
- 유소아
- 심장 질환(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 말초혈관 질환
- 여행을 많이 다니는 환자
- 당뇨 환자
- 최근 두부, 심장 수술 병력
- 출혈이 있는 환자
4. 혈액투석
1) 정의
- 반투막인 투석막 경계로 혈액이 200ml/분 이상의 속도로 모세관을 통해 하행하고 투석액이 500ml/분 속도로 모세관 주위로 상행하여 확산과 대 류에 의해 체내 불순한 노폐물이 제거되고 한외여과에 의해 체내 과잉 체액이 제거되는 것으로 평균 주 3회 4시간씩 함
2) 합병증
- 흔한 합병증
: 저혈압(10~50%)
: 근육 경련(5~20%)
: 오심 및 구토(5~15%)
: 고혈압
- 드문 합병증
: 투석 불균형 증후군
> 투석에 의해 혈장 내 용질이 급격하게 제거 되며 혈장 내 삼투압이 급격히 감소함 > 혈액 투석 중 오심, 구토, 두통, 등이 발생
: 부정맥, 혈소판감소증, 출혈
- 기술적 합병증
: 용혈
: 공기색전증
: 투석액 온도 이상
5. 복막투석
- 1일 2~3L 양을 3~4회 교환(6~8시간 간격)
- drain – fill – dwell 과정 반복
- 물 많이 제거하려면 포도당 농도 높은 투석액 사용
1) 장점
- 혈관이 나빠도 시행 가능(당뇨병, 소아, 혈관질환)
- 전신적 헤파린 사용 X
- 서서히 지속적으로 용질과 체액이 제거되므로 혈장 용질농도의 급격한 변화 없음
- 심혈관계 스트레스 적고 음식 제한 적다
- 혈압 조절 용이, 빈혈 정도가 혈액투석보다 덜함
2) 단점
- 치료시간 길다(하루 30분 X 4회)
- 복막염이나 도관 출구부 감염, 단백손실, 고지혈증과 비만 발생(투석액 내 포도당 흡수 되어서)
- 복압 증가 → 폐활량 감소, 요통, 탈장
* 참고 - 심장막질환과 투석
1) 요독성 심낭염(요독증 물질 축적)
- 투석 전 혹은 시작 후 8주 이내 발생, 현재는 드묾
- 투석의 절대적 적응증
- 대개 출혈성 effusion
- PR interval depression, diffuse ST segment, cardiomegaly
2) Dialysis-associated pericarditis(심장막염)
- 이미 안정적으로 투석 중인 환자에서 발생
- 빈도는 요독성 심낭염보다 높음
- 흉통, friction rub
- 치료
: 집중적 투석(heparin 사용 X – 출혈 가능성 있으므로)
: 전신적 항응고 피하기
⤷ hemorrhagic tamponade(심장눌림증) 최소화
오늘은 신장투석에 대해 알아보고 혈액투석, 복막투석의 비교와 각각의 특징, 장단점을 살펴봤습니다. 필요하신 정보를 얻으셨길 바랍니다 ^^
'건강 및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식도염 증상 약 진단 검사 좋은 음식 나쁜 음식 (0) | 2024.06.05 |
---|---|
아기 설사 변비 등 소화기 장애 원인과 치료 (0) | 2024.06.04 |
요로결석 통증, 제거 방법, 입원과 회복기간 (0) | 2024.06.02 |
단백뇨 원인과 수치. 혹시 신증후군일까? (0) | 2024.06.01 |
골다공증의 원인, 검사 그리고 치료제(데노소주맙, 로모소주맙 내용 포함) (0) | 202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