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터키안 증후군은 이름부터 생소하지만 종종 진단받는 분들이 계셔 정보가 필요하실 텐데요.
오늘은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중 하나인 ‘공터키안 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1. 공터키안 증후군이란?
공터키안(empty sella) 증후군은 뇌하수체(뇌하부의 중요한 부분)에 위치한 셀라 터크리카(뇌하수체가 있는 곳의 뼈 상의 공간)가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이는 보통 뇌하수체의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때로는 일부 호르몬 이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공터키안 증후군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1) 원발 공터키안(empty sella syndrome)
: 이것은 보통 뇌하수체의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부의 경우,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만, 그 외에는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초집안 공터키안(primary empty sella)
: 이것은 뇌하수체의 압력이 상승해서 뇌하수체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를 뜻하는데요. 이 경우에는 호르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공터키안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우연히 뇌 검사를 통해 발견되며, 대부분의 경우 심각한 증상이나 문제를 초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호르몬 이상이나 다른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경과 전문의와 상담 후 앞으로의 치료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원발 공터키안
원발 공터키안(empty sella syndrome)은 뇌하수체의 안장(sella turcica : 뇌하수체가 위치한 곳의 뼈 속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이 경우에 보통 뇌하수체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때로는 일부 호르몬 이상을 유발합니다.
원발 공터키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증상
대부분의 환자는 초기에 증상이 없거나 미미합니다.
많은 경우에 원발 공터키안은 우연히 뇌 CT 또는 MRI 검사를 통해서 발견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두통, 시력 장애, 호르몬 이상(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고혈압 등)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2) 진단
주로 뇌 CT 또는 MRI를 통해 진단됩니다. CT 또는 MRI 영상상에서 안장(sella turcica)이 비어 있거나 또는 뇌수액으로 채워진 상태로 나타납니다.
3) 원발성
원발 공터키안은 주로 선천적인 변형이나 원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뇌하수체 주위의 골질이 늘어나거나, 뇌수액이 안장 내에 채워져 있는 상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가장 궁금한 것이 치료일텐데요. 대부분의 원발 공터키안 환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호르몬 이상이나 다른 증상이 있는 경우, 해당 증상에 맞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내분비내과에서 진료를 받아보고 전문의와의 상담 후 호르몬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원발 공터키안은 대개는 경과 관찰하며 증상이나 문제가 없는 상태이고, 때때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기적인 의료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정리 할 수 있습니다!
3. 초집안 공터키안
초집안 공터키안(primary empty sella syndrome)은 뇌하수체의 안장(sella turcica : 뇌하수체가 위치한 곳의 뼈 속 공간)이 비어 있는 상태라는 것은 원발 공터키안과 동일하지만, 이 상태는 뇌하수체 압력이 상승하여 뇌하수체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1) 증상
초집안 공터키안은 대부분 뇌하수체 압력이 정상치보다 증가할 때 생기는데, 이것은 뇌하수체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인해 호르몬 이상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 저하증, 성호르몬 부족, 부신 기능 저하증 등의 증상을 들 수 있습니다.
2) 진단
초집안 공터키안 역시 뇌 CT 또는 MRI를 통해 진단됩니다. 셀라 터크리카가 비어 있거나 뇌수액으로 채워진 상태가 보이게 됩니다.
3) 원발성
초집안 공터키안 역시 원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뇌하수체 주위의 골질이 약화되거나, 뇌수액이 안장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주로 발생하는 호르몬 이상에 따라 치료는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호르몬 이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내분비학적인 전문의의 평가 이후에 적절한 호르몬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뇌하수체 압력 관리를 위해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초집안 공터키안은 대개 진행이 느리고, 증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기적인 의료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는 환자는 신경과와 내분비과 전문의와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공터키안 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필요한 정보를 얻으셨길 바랍니다!
'건강 및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제 특징 메토트렉세이트 페메트렉시드 시타라빈 빈크리스틴 파클리탁셀 에토포사이드 독소루비신 블레오마이신 (0) | 2024.06.26 |
---|---|
자궁경부암 증상 검사 주사 예방접종 가다실 비용 (0) | 2024.06.25 |
철결핍성 빈혈 증상 수치 약 철분제 (0) | 2024.06.19 |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 치료제 증상 진단 (0) | 2024.06.17 |
알코올성 간질환 음주 지방간 간경변 간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0) | 2024.06.17 |